|
장기적 접근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성 높아.... |
한국부동산이 지금 당장 폭등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2016년까지 길게 본다면 그 기간중 폭등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필자가 생각하는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중 하나입니다.)
부동산이 폭등할수 있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금융적인 부분만 살펴 보기로 하겠습니다. 돈이 넘쳐 흐르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합니다. 시중에 1조의 유동성이 있었을때 부동산 가격과 시중에 2조의 유동성이 있을때 부동산 가격이 다를것입니다. 당연히 유동성이 두배가 된다면 부동산 가격은 상승할것입니다. 이때 조건은 유동성이 부동산을 목표로 잡아야한다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한국에 유동성이 넘쳐 난다면 돈들이 부동산을 목표로 잡을까요? 잡을것으로 보입니다. 이유는 이익이 많이 나기 때문입니다.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국의 부동산 세제는 부동산 폭등을 제어할만큼 충분히 위력적이지 않고 이익을 내기에는 충분히 약합니다. 따라서 한국에 유동성이 넘친다면 돈들은 부동산을 목표로 잡을것입니다. (주식시장과 동반합니다.) 부동산이 이익을 얻을수 있는 대상이라면 돈이 생기면 당연히 부동산을 살것이고 이에따라 부동산가격은 상승할것입니다. 유동성은 어느곳으로 부터 올까요? 첫째는 국내의 유동성이고 둘째는 외국에 의한 유동성입니다. 국내의 유동성은 정부에서 그동안 돈을 많이 풀었습니다. (이제는 정부가 빚쟁이 입니다.) 하지만 미국이나 일본처럼 될까봐 쉽게 출구전략을 사용할수 없습니다. 따라서 금리를 올리기도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국토개발을 통해 엄청난 유동성이 공급이 될것입니다. 게다가 2-3년후 경제가 살아난다는 확신이 들기 시작하면 돈들이 돌기 시작하면서 엄청난 위력을 발휘할것입니다. 국외의 유동성은 달러캐리자금과 엔캐리자금입니다. 미국이 엄청난 돈을 발행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일본이 디플레이션을 선언하였습니다. 이것은 모든 자본가들에게 일본의 금리는 계속 0%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안심하고 엔캐리를 다시 재개할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에는 달러캐리 자금이 들어 왔다고합니다. 하지만 미국은 내년쯤 금리를 올릴것이라고 말들이 많습니다. 이러면 쉽게 달러캐리를 할수 없습니다. 하지만 필자의 예측대로 2-3년 안에 미국이 일본식 장기침체로 들어갔다는 지표가 나오면 미국은 계속 쭉 금리를 올릴수 없습니다. 이러면 자본가들은 안심하고 달러캐리도 할수 있습니다. 엔캐리가 일어나고 달러캐리가 일어나도 돈이 한국으로 안오면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경제를 조금만 아시는 분이라면 한국이 달러캐리,엔캐리의 목표가 되는 것을 쉽게 짐작할수 있습니다. 앞으로 2-3년후 (더 당겨질수도 있습니다.) 국내 유동성과 국외 유동성이 한국으로 쏟아져 들어 온다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한마디로 돈값이 휴지값이 되고 자산 가격이 금값이 될수도 있습니다. 물론 지금 그렇게 된다는 것이 아닙니다. 2-3년후 전세계가 경제가 살아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 그럴수도 있습니다. 부채로 자산을 산 사람들은 환호하고 부채가 없이 현금을 들고 있는 사람들은 절망할지도 모릅니다. 이때가 되면 한국에서 부동산은 더 이상 주택이 아닙니다. 단순한 주식의 한 종목일뿐입니다. 투자의 대상이지 주택이 아닙니다. 다만 투자할수 있는 인기종목이냐 아니냐의 문제만을 따질뿐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되면, 소득이나 경제성장보다 더 많이 부동산이 상승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내재가치보다 더 많이 상승합니다. 따라서 모래위에 서는 건물처럼 부동산 시장은 매우 허약한 기반위에 서게 될것입니다.
인터넷 펌.
|
출처 : 황금물고기
글쓴이 : 착한아저씨 원글보기
메모 :
'그룹명 > 부동산에대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동산에 관심없는 당신은 LOSER...!! (0) | 2010.06.09 |
---|---|
[스크랩] 인생에 있어서 부동산이란 무엇인가? (0) | 2010.06.09 |
[스크랩] 기획부동산업체 땅은 과연 돈이 되는가 (0) | 2010.06.09 |
[스크랩] 세금을 모르면 부동산 투자 하지 마라 (0) | 2010.06.09 |
[스크랩] 택지를 살 때 기본적으로 체크해야 할 사항 (0) | 201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