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부동산에대한

[스크랩] 기회는 한번 뿐이다..

마른땅 2010. 6. 9. 11:52

토지가 지니고 있는 특성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부동성' 이라는 특성이다. '부동성'이란 '토지는 움직이지 못한다'는 특성이다. 토지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토지는 저마다 정해진 위치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사실은 부동산투자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제부터 부동성과 관련하여 부동산 투자시 고려하여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짚어보겠다.


1. 좋은 땅 보다는 좋은 지역에 투자하라.


부동산의 가격은 그 땅 자체가 가지고 있는 조건보다는 그 지역(동네)이 가지고 있는 조건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제주의 예를 들어보겠다. 한라산 기슭에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200평짜리 땅 보다는 제주시청 인근에 있는 울퉁불퉁한 모양의 100평짜리 토지가 더 가격이 높다.


그래서 토지에 투자할 때는 그 땅을 먼저 보기 전에 그 지역을 먼저 보아야한다. 땅 자체도 좋아야겠지만 그 보다는 먼저 지역이 좋아야한다. 주변 지역이 좋은 토지에 투자해야 한다.


토지 자체는 손질이 가능하다. 합필이나 분필을 통하여 모양도 보기 좋게 바꿀 수 있고, 면적도 적당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좋은 토지'는 투자자의 노력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토지의 주변 환경을 바꿀 수는 없다. 즉 '좋은 지역'은 투자자의 힘으로는 만들어 낼 수 없다. 그리고 내 토지를 좋은 지역으로 옮겨 놓을 수도 없다. 토지는 움직일 수가 없기 때문이다.


2. 현장 확인은 필수.


토지는 움직이지 못하므로 진열판매가 불가능하다. 즉 토지를 한 장소에 모아 진열해 놓고 판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토지는 현장에 그대로 두고 서류만 가지고 거래를 하게 된다. 따라서 토지를 거래할 때는 서류의 내용이 사실과 맞는지를 반드시 현장답사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토지 거래를 할 때에 현장답사를 해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토지를 매수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 중에는 서류에 없는 것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분묘 존재 여부, 토지의 경사도, 주변 경관 등은 서류에 나와 있지 않지만 토지를 살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이다.


3. 입지선정을 잘 해야 한다. 기회는 한 번 뿐이다.


토지는 움직일 수 없으므로 토지는 늘 그 자리에 있게 된다. 집에서 사용하는 세탁기는 현재의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위치로 옮길 수 있지만 토지는 움직일 수 없으므로 위치를 옮기는 것이 불가능하다.


토지의 위치는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토지를 구입할 때는 위치선정(입지선정)을 잘 해야 한다. 입지선정의 기회는 단 한 번뿐이다. 토지 투자시 입지선정이 잘 못되면 큰 낭패를 보게 된다.

 

http://cafe.daum.net/charisland

출처 : 황금물고기
글쓴이 : 착한아저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