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청국장 만드는 방법

[스크랩] 엿기름의 효능(맥아의 효능)

마른땅 2014. 1. 5. 22:17

맥아의 효능 (보리)의 효능 (엿기름 맥아의 효능)

 

보리는 볏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혹은 두해살이의 재배식물로서 서남아시아, 이집트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의 온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7,000~10,000년의 재배 역사를 갖고 있다. 1~2년생 초본으로서 1m정도 자라고 마디 사이는 속이 비어 있고, 원주형이다. 잎은 서로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으로서 녹색바탕에 다소 흰빛이 돌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싸는 엽초로 된다. 꽃은 4~5월에 피고 초상화서이고, 과기는 5~6월로써 종자를 대맥이라고 하고 약용한다. 이것을 발아시켜서 얻은 것이 '맥아'이다. 길이가 약 8mm정도 되며 끝에 황갈색의 새싹 마른 것이 붙어 있다.

 

효능

 

겨울을 지난 어린 보릿잎을 '동맥'이라고 한다. 이 동맥을 예전부터 한방이나 민간에서는 귀중한 약으로 써왔다. 어린 보릿잎은 인체에 꼭 필요한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는 이상적인 식품인 동시에 만능에 가까운 약초이다. 매일 한끼씩 먹으면 보약에 못지 않다. 위기능 강화에 좋다. 그외 소화효소와 천연엽록소, 카로틴, 비타민B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병후의 자양약, 당뇨병환자의 중요식품, 신진대사 촉진, 혈액생성, 어린아이들의 만성 소화불량, 만성간염, 간기능의 이상에 좋다.

 

엿기름 맥아의 효능

 

1.엿기름이란

엿기름이란 발아.발근시킨 보리를 건조시켜 어린뿌리를 제거한 것으로 엿길금, 맥아(麥芽)라고도 합니다. 녹말을 당화하는 효소를 비롯해 배젖조직을 분해하는 여러가지 효소가 발아 때에 생산되는 것을 이용하여 당화제를 겸한 녹말원료로 맥주, 위스키, , 식혜 등을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2.엿기름의 역사

엿기름 제조의 역사는 오래되어 BC4000년 무렵의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그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당시에는 보리를 쌓고 물을 뿌린 다음 발근되었을 때, 햇볕에 펼쳐 건조시켜 만들었습니다. 이 기술은 BC3000년에 고대이집트로 전해져 보리재배에 적합한 지중해성 기후지대에 퍼졌으며, 중세에는 독일을 중심으로 북유럽 여러나라 까지 보급되었습니다. 중세에서의 제조기술도 기본적으로는 고대와 다른 것이 없으나 발아 공정에서 휘저어 섞어 싹튼 뿌리가 얽히지 않도록 막는 동시에 산소를 공급하여 온도를 조절하였습니다. 또한 엿기름의 건조는 화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근대에 들어와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에 다라 각종 기계류의 발명으로 제조기술은 대폭 개량되었습니다. 즉 보리의 침지(浸漬)로부터 발아,건조에 이르기까지 공정의 온도,습도,통풍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침조조(沈漬槽),발아상(發芽床),건조상이 개발되어 제조 소요 일수가 종래의 1개월 정도에서 10일 전후로 대폭 단축되엇습니다. 현대에는 제조의 대형화.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3.맥아 엿기름 성분

엿기름은 혈압을 낮추고 빈혈 당뇨등 성인병에 좋은 생리 활성물질이 풍부하고, 어린이 성장 호로몬 촉진, 면역기능 강화, 발암인자억제, 소화성궤양, 아토피등 피부질환 치료 등에 좋다. 엿기름은 간에 열을 내리고 독을 해독하여 만성 간염 간경화에 효가 적이라고 한다. 엿기름에는 비타민B, 철분, 엽산등과 함께 30여가지의 효소가 들어 있으며 칼륨이 시금치의 55, 마그네슘3, 철분5, 비타민c 33, 칼슘이 우유 의11, 비타민B1 30배 들어 있다고 한다. 미국의 유명한 배우가 보리 싹을 3개월 먹고 간암을 고친 사례가 있어 보리 싹이 알려 지기 시작 했다고 한다.

 

4.맥아 엿기름의 효능

엿기름은 보리에 있는 녹말 성분이 당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아밀라아제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단맛이 난다. 겉보리에서 싹이나면 보리가 성장하기 위해서 자신을 분해 하는데, 이때 아밀라아제라는 소화 효소가 다량으로 만들어 진다. 아밀라아제가 보리의 알맹이에 있는 아밀로스라는 녹말 성분을 분해하여 엿당과 포도당을 만들기 때문에 단맛이 난다. 예로부터 엿기름은 엿을 만들거나 감주를 만들 때, 고추장의 원료인 조청을 만들 때 주재료로 사용되었다. 한방에서 엿기름을 맥아라 부른다. 한의학에서 맥아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고 되어 있다. 엿기름은 비장과 간과 위장에 작용하여 소화불량과 식욕부진과 구토, 설사를 다스린다. 엿기름은 비위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과식하거나 소화가 잘되지 않을 때 , 식욕 부진 할 때, 가스가 차고 더부룩할 때, 스트레스로 인한 소화기 장애에 사용한다. 유즙분비를 억제하고 유선염으로 유방이 붓고 아플 때 가라앉히는 작용이 있어, 산모가 수유를 중단하려 할 때 많이 애용되고 있다. 맥아는 레시틴을 함유하고 있어 간을 보호하고, 담즙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한 소화 효소외 비타민 b,c를 함유하고 있어 한방에서는 소화제로 많이 사용하지만 모유 수유 시에는 유즙분비를 억제함으로 감주와 함께 먹지 말아야 한다.

출처 : 퍼즐 흐레마 성경 아카데미
글쓴이 : 오유식목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