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부자들

[스크랩] <2010 농촌현장> "小農이 강하다"

마른땅 2010. 5. 6. 19:04

<2010 농촌현장> "小農이 강하다"

 

R07737-고향 포탈사이트 'e-고향' 특산품들

(서울=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사이버상에서 고향의 향수를 느낄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e-고향(www.egohyang.com)에서 과일 · 쌀을 비롯해 각 고장의 특산품 등이 판매된다. 2001.9.20

<저작권자 ⓒ 2009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진도 강은수 씨 등 전국 억대 가족농 수두룩
유기농에 '셀프 마케팅'.."교육과 투자로 가능"
정부는 개방 대비 규모화 유도..민자유치도


(진도=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소규모 농업도 결코 불리하지 않다. 작물을 특화시키고 유기농으로 키운 농작물을 시장뿐만 아니라 전자상거래로 직접 판매하면 강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전남 진도에서 친환경 작물을 재배ㆍ판매해 연간 1억원 이상의 고소득을 올리고 있는 강은수(52) 씨는 '소규모 가족농'의 전도사로 불린다.

   강 씨가 소규모 가족농을 강조하는 것은 수십년에 걸쳐 직접 유기농과 '셀프 마케팅'을 실천해온 경험 때문이다.

   대도시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강 씨는 1973년에 고향인 진도로 내려가 벼와 고구마 등을 재배하는 농사에 뛰어들었다.

   처음 10년은 그에게 말할 수 없이 힘든 세월이었다.

   "밑천이 없어 농협 대출받아 농사짓고 부족하면 개인 빚을 내 대출을 막았다. 영농자금을 빌려 생활에 쓰면 재배한 작물을 팔아서 갚았고 나머지는 빚이 되는 생활이 반복됐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강 씨는 남들과 똑같이 해서는 도저히 희망을 찾을 수 없어 1988년부터 채소로 작물을 특화시키고 고품질로 승부를 걸었다.

   그리곤 시장과 공판장에 직접 나가 조금이라도 비싼 값에 팔고 남는 것만 도매상에 넘겼다.

   그는 "채소를 밭떼기로 팔면 1년에 두세 차례 목돈을 쥐지만 대부분 빚을 갚는데 다 써버린다"며 "시장으로 공판장으로 판매처를 하나둘씩 넓혀가니 차츰 여유가 생기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어느 정도 생활이 안정된 강 씨는 다시 한번 자신의 농사를 업그레이드 시킨다.

   1996년 친환경농법을 통해 품질을 차별화시킨 작물을 온ㆍ오프라인으로 판매하며 소비자들과 직접 만나기 시작했다.

   강 씨는 "10년전 인터넷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채소를 팔고 있는 모습을 본 농협직원이 나를 참 한심한 사람으로 봤다"며 "그러나 지금은 그 선택이 옳았고 빨랐다는 것을 누구나 다 인정하고 있다"고 자부했다.

   철저한 유기농으로 재배한 고추와 배추를 자신이 운영하는 가공공장에서 제품화시켜 인터넷 판매까지 '1인 3역'을 하는 동안 그는 어느덧 억대 부농의 대열에 올랐다.

   강 씨는 "소농은 작물종류나 재배면적을 크게 늘릴 수는 없지만 혼자 생산과 유통.판매를 모두 맞춤형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며 "소ㆍ도매상에게 갔던 중간마진도 모두 내 것이 되니 소득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령인구가 많기는 하지만 소규모 가족농 중심인 우리 농촌도 교육과 투자를 통해 조금만 더 지원을 하고 관심을 가져주면 빚을 털고 일어나 부농의 꿈을 이룰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강 씨는 그래서 농업 규모화나 단지화 사업을 펴고 있는 정부의 정책에는 부정적이다.

   그는 "우리 농가는 대부분 소농이어서 단지나 법인으로 묶을 경우 통솔하기가 쉽지 않다"며 "농가마다 농법도 제각각인데다 관행.친환경농법이 혼재할 경우 농산물에 대한 신뢰도도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강 씨는 "농업이 대형화될 경우 비료.농약 사용이 불가피해지고 상품경쟁력도 낮아진다"며 "유기농을 실천할 수 있는 소규모 가족농이 우리 농촌에 적합한 것 같다"고 강조했다.

  
◇가족농이냐 기업농(농업경영체)이냐


강씨의 성공사례에서 보듯 가족단위의 소규모 농사를 통해서도 전국적으로 억대 농가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개방 시대를 맞아 우리 농촌을 규모화시키는 방향으로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있다.

   국내 농가는 2009년말 기준으로 124만5천가구, 농업인구는 327만4천여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8%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농가 대부분은 소농과 가족농으로 소유농지 규모가 평균 1ha 안팎에 불과하다.

   최근 친환경농법이 크게 보급되고 있지만, 이들은 여전히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는 관행농법에 의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산지가 많은 지리적 여건을 봐도 당분간 소규모 가족농 방식의 농업체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들 소농이나 가족농으로는 거대 농산물 수출국과 맞설 수 없다고 보고 '농업경영체' 등을 통해 덩치를 키우는 정책을 펴왔다.

   김대중 정부 시절 소규모 가족농을 지원하는 정책을 일부 펴기도 했으나 주된 기조는 역시 농업의 규모화였다.

   현 정부에서도 뉴질랜드나 네덜란드와 같은 규모화와 첨단화 등을 선호하고 있고 규모화를 위해 생산자 조직을 키우고 외국인 자본을 포함해 민간자본을 농업에 유치한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흐름에 따라 3ha이상 쌀농사를 짓는 농가비중이 1995년에는 전체 쌀농가의 2.8%에 그쳤으나 2008년에는 5.7%까지 늘어났다. 또한, 이들이 전체 쌀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5.8%에서 36%까지 커져 쌀농사의 규모화는 이미 진행 중인 셈이다.

   조재호 농림수산식품부 농업정책과장은 "우리 농업은 90%가 관행농법을 하고 있으며 이들이 수입농산물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들을 농업경영체 등으로 조직.규모화를 하지 않으면 품질향상이나 가격경쟁력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이에 비해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농민단체들은 "아무리 규모화되더라도 거대 다국적 농업법인과 경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유기농 강국인 쿠바처럼 소농 중심의 친환경 유기농법으로 체질을 탈바꿈시키는 것이 우리 현실에 훨씬 적절하고 경쟁력도 갖출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49%밖에 안되는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도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농업 규모화보다는 소규모 가족농이 유리하다는 지적도 있다.

   유원상 전국농민회총연맹 정책위 위원장은 "지리적 여건상 규모화할 수 있는 국내 농지는 평지 외에는 거의 없어 실제 규모화가 가능한 농지는 얼마 되지 않는다"며 "소규모 가족농을 해체하려고만 하지 말고 이들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찾아주는 정부의 노력이 아쉽다"고 말했다.

   betty@yna.co.kr2010-02-28
(끝)

출처 : 환상의 C조
글쓴이 : 얼음꽃 원글보기
메모 :